판소리의 뜻과 용어 등
뜻과 용어
소리하는 이가 혼자 서서 몸짓을 해 가며 노래와 말로 <춘향전>이나 <심청전> 같은 긴 이야기를 엮어 나가는 우리 전통 음악의 한 갈래가 판소리이다. 이것에는 북 반주가 곁들여지며, 북 치는 이는 소리에 맞추어 "얼시구" 하고 외쳐서 흥을 돋구기도 한다.
판소리가 지금은 흔히 극장놀음이나 방안놀음으로 벌어지지만, 옛날에는 판놀음으로 벌어졌다. '판놀음'이란 여러 패의 놀이꾼들이 너른 마당을 놀이판으로 삼고, '판을 짠다'하여, 순서대로 소리, 춤, 놀이 따위를 짜서 벌이는 것을 한데 묶어 일컫는 말이다. 판놀음으로 벌이는 놀음에는 '판'이란 말이 붙는다. 판놀음에서, 줄타기는 '판줄', 농악은 '판굿', 춤은 '판춤', 염불은 '판염불', 소고 놀음은 '판소고'라고 한다. 따라서 판놀음에서 하는 소리가 '판소리'이겠다. 그러면 '소리'는 무엇이며, '소리하기'란 무엇일까? "소리 한자리 해라", "소리를 잘한다"와 같은 예스러운 표현에서, 또 오늘날에도 남아 있는 김매기소리, 상여소리와 같은 말에서 우리는 그것이 '노래' 또는 '노래하기'와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판소리라는 말은 이 나라의 토박이말이다. 옛날에는 이를 잡가, 극가, 창가, 본사가 따위의 한자말로 쓰기도 했으나, 요즈음에는 그런 말들을 쓰지 않는다. 판소리하는 이를 옛날에는 창우, 가객, 광대 또는 소리꾼이라고 불렀는데, 오늘날에는 일정하게 쓰는 말이 없다. 북치는 이는 고수라고 부른다. 판소리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을 '소리한다'고 하는가 하면, 말하는 것을 '아니리한다'고 하고, 몸짓을 하는 것을 '발림한다'고 한다. '발림이 좋다'는 말은 '너름새가 좋다' 또는 '사체가 좋다'라고도 한다. 그리고 북치는 고수가 북을 치면서 알맞은 대목에서 "얼씨구, 좋다!" 또는 "으이, 좋지!" 따위의 말을 외치는 것을 '추임새한다'고 이른다.
공연형태
판소리는 본디 가객이 혼자 벌이는 것이다. 요즈음 극장에서 여러 사람이 서양 오페라에서와 같이 배역을 나누어서 연기를 하면서 부르는 신식 판소리가 있는데, 이것은 판소리라고 하지 않고 ‘창극’이라고 한다. 이 창극의 형식은 1900년대에 중국의 창희 또는 일본 신파 연극의 영향을 받고 생겨난 것으로, 판소리계에서는 이 창극을 판소리의 ‘발전’으로 보지 않고, ‘변질’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옛날에 판소리는 집안의 큰 잔치에서나 마을의 큰 굿에서나 관아의 잔치 자리에서 흔히 불렸다. 판소리가 불리던 판놀음은 보통 큰 마당이나 너른 대청에서 벌어졌다. 먼저 줄꾼이 줄을 타고, 재주꾼이 땅재주를 넘고, 춤꾼들이 춤을 춘 뒤에 끝에 가서 소리꾼이 소리를 했는데, 판소리가 벌어지는 대목은 따로 ‘소리판’이라고 일렀고, 소리판이 벌어지는 곳을 ‘소리청’이라고 했다.
소리판이 마당이나 들에서 벌어지면 멍석이 깔린 위에 돗자리가 깔리고, 큰 마루에서 벌어지면 돗자리만이 깔리고, 그 둘레에는 구경꾼들이 삥 둘러앉는데, 한편에는 지체 높은 어른들인 좌상객들이 자리를 잡는다. 가객은 돗자리 위에서 좌상을 바라보고 서고, 고수는 북을 앞에 놓고 가객을 마주보고 앉는다. 가객은 두루마기와 비슷한 창옷을 입고, 갓을 쓰고, 손에 부채를 들고 서서 소리하되, 판소리 사설의 상황에 따라서 앉기도 하고, 여러 가지 몸짓도 하며, 우스운 말로 구경꾼을 웃기기도 하고, 슬픈 소리 가락으로 구경꾼을 울리기도 하며 긴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가객의 소리가 무르익으면 구경꾼들도 흥이 나서 “얼시구” 하고 추임새를 한다. 구경꾼들은 아침부터 날이 저물도록 또는 저녁부터 밤이 새도록 넋을 잃고 소리를 듣는데, 겨울철에는 눈이 내려도 밤새도록 자리를 뜰 줄 몰랐다고 한다.
열두마당과 다섯마당
판소리는 일정한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를 소리와 말로 엮은 것이다. 판소리로 짜인 이야기의 가짓수에 따라 판소리의 가짓수도 여럿이었을 것이다. 조선 왕조의 정조, 순조 무렵에는 그때에 수도 없이 많았을 여러 판소리 가운데서 열두 가지를 골라 ‘판소리 열두 마당’이라 일렀던 것 같다. 여기서 마당이라 함은, 소리, 춤, 놀이 따위를 헤아리는 데에 쓰이는 단위로, 요즈음말로 ‘과장’과 같으며, “한판 논다”, “한바탕 논다”에서와 같이, ‘판’ 또는 ‘바탕’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런데 판소리 열두 가지를 골라 열두 마당으로 꼽는 것은 꼽는 이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조선 왕조 순조 때의 문인인 송 만재가 적은 “관우희”라는 글에는 판소리 열두 마당의 내용이 아주 간단하게 적혀 있는데, “관우희”를 학계에 소개한 국문학자 이 혜구는 이를 <심청가>,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장끼타령>, <옹고집>, <왈자타령>, <강릉 매화전>, <가짜 신선 타령>으로 밝혔다. 일본 제국주의 시대 때에 정 노식이 쓴 <조선창극사>에는 <장끼타령>, <변강쇠타령>, <무숙이타령>, <배비장타령>,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춘향가>, <적벽가>, <강릉매화전>, <숙영낭자전>, <옹고집>으로 적혀 있다. 둘을 견주어 볼 때에, 열 마당은 서로 같고, “관우희”의 <왈자타령>과 <가짜 신선 타령>의 자리에 <조선 창극사>의 <무숙이타령>과 <숙영낭자전>이 들어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왈자타령>과 <무숙이타령>은 이름만 다를 뿐이지 그 내용은 같다고 할 수 있으므로, 하나만 서로 다를 뿐이다. 열두 마당 가운데서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장끼타령>, <옹고집>은 사설만 전해지고, <무숙이타령>, <강릉 매화전>, <가짜 신선 타령>은 사설조차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서 오늘날까지 소리가 남아 불리는 것은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인데, 이것을 ‘판소리 다섯 마당’ 이라고 부른다.